
저출산에 대한 대응으로 정부는 2025년 출산 증진을 위한 다양한 출산 및 육아지원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. 그러나, 아이가 태어나면 기쁨도 잠시, 육아비용도 만만치 않습니다. 2025년을 기준으로 임신과 출산, 그리고 육아 과정에서 받을 수 있는 정부 및 지자체 지원 정책들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했습니다. 놓치지 말고 지원받을 수 있는 혜택을 받아가시길 바랍니다!
임산부라면 꼭 알아야 할 혜택
임신 기간 동안 산모와 아기의 건강을 지키고, 출산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혜택들입니다.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.
지원 내용 | 신청 자격 | 신청 기간 / 사용 기간 | 신청 방법 | |
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| 출퇴근 시간 2시간 탄력 조정 (임금 동알) | 임신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 임산부 고위험 임산부 의사 진단 시 전 기간 가능 | 신청 기간 단축 개시 3일 전 사용 기간 출산전까지 | 회사 인사 담당자와 상의 |
임산부 등록 | 임산부 뱃지 엽산/철분제 지급 임산부 주차증 초기 검사 (무료) 등 | 임산부 | 신청 기간 임신 확인시 부터 사용 기간 출산전까지 | (방문접수) 지자체 보건소 (온라인) 정부24 |
맘편한 임신 | 엽산/철분제 지원 (택배가능) 표준모자보건수첩 KTX/SRT 할인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(바우처) 임신 1회 당 100만원 다태아의 경우 140만원 분만취약지 거주자 20만원 추가 지원 청소년 산모 임신 및 출산 의료비 경감 임신 1회당 120만원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 일정 기간 출산 가정 방문하여 산후 과리를 도와주는 서비스 이용권(바우처) 에너지바우처 전기, 도시가스, 지역난방, 등유, LPG, 연탄 구입 비용 지급 1인 가구 - 295200원 2인 가구 - 407500원 3인 가구 - 532700원 4인 이상 - 701300 | 엽산제 - 임신 전후 3개월 철분제 - 임신 16주부터 (5개월 분량) 표준모자보건수첩 - 임산부 또는 출생 영유아 KTX/SRT - 임산부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- 임산, 출산(유산, 사산 포함)이 확인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(2세미만 영유아) 단, 의료급여를 받는자(수급권자), 건강보험 적용배제 신청자, 건강보험 자격상실자, 급여정지자는 제외 청소년 산모의 임신, 출산 의료비 경감 - 만 19세 이하 임산부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 - 산모 또는 배우자가 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 -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 출산 가정 에너지 바우처 - 생계, 의료, 주거, 교육급여 수급자 | 신청기간 임신 확인시 부터 사용 기간 정책별 상이 | (온라인) 정부24 |
임신 출산 진료비 바우처 | 지원금액 (바우처) 단태아 - 100만원 다태아 - 200만원 | 임산부 | 임신 확인시 부터 | 맘편한 임신 신청 시 자동 발급 또는 카드사 신청 |
자연분만 및 제왕절개 비용 지원 | 자연분만 및 제왕절개 비용 개인 부담 없음 식대 50% 면재 고위험 임산부 경우 요양급여비용 10% | 모든 산모 (고위험 산모 포함) | 병원 정산 시 자동 적용 | |
우체국 임산부 보험 | 태아 희귀 질환 및 산모 임신 질병 보장 (무료 보험) | 17 ~ 45세 및 임신 22주 이내 임산부 | 신청 기간 임신 22주 이내 사용 기간 출산 후 일정 기간 | (현장접수) 우체국 방문 (온라인) 우체국 보험 홈페이 |
임산부 자동차 보험 할인 | 자동차 보험료 할인 보험사별 조건 및 비율 상이 평균 5~20% 할인 | 임산부 또는 배우자가 피보험자로 등록된 경우 | 신청 시기 보험 가입 시 또는 갱신 시 사용 기간 출산 후 특약 해지 요청까지 | 보험사 요청 |
태동검사 환급 | 태동검사 비용 환급 1회 - 3만원 35세 미만 1회 35세 이상 2회 | 임신 24주 이상 35세 미만 임산부의 경우 자궁 수축 없는 경우 건강보험 적용을 한번도 받지 못했거나 건강보험 적용 횟수만큼 적용 받지 못한 자 - 병원 확인을 통해 확인가능 | 신청 기간 출생 후 5년 이내 | (온라인) 건강보험심사평가 (건강e음) |
교통비 지원 | 지역별 상이 지원금액(바우처) 서울시 - 70만원 | 지역별 상이 서울시 6개월 이상 거주 | 지역별 상이 신청 기간 서울시 임신 3개월 ~ 출산 3개월 이내 사용 기한 서울시 바우처 지원일 ~ 분만예정일로부터 6개월이 되는 달의 말일 | 지역별 상이 서울시 임신 중 (현장접수) 관할 주민센터 (온라인) 정부24, 서울맘케어 출산후 (현장접수) 관할 주민센터 (온라인) 서울맘케어 |
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지만, 가장 중요한 것은 "맘편한 임신"입니다. 정부24를 통해 쉽게 온라인으로도 신청 가능하니 임산부라면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
출산 후 놓치지 말아야 할 지원금 및 서비스
아이가 태어난 후에도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특히 2025년에 개정된 "육아지원 3 법"으로 더 많은 혜택을 받으실 수 있으니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!
지원 내용 | 신청 자격 | 신청 기간 / 사용기간 | 신청 방법 | |
첫만남 이용권 | 출산 시 1회 지원금액 (바우처) 단태아 200만원 둘째 이상 300만원 쌍둥이 500만원 | 모든 출산 가구 | 신청기간 출생신고 후 주민등록번호 부여 받은 아동 (1년 이내) 사용기간 아동 출생일(주민등록일)로부터 1년이내 | (방문신청) 행정복지센터 (온라인) 복지로, 정부24 |
산후조리 경비 지원 | 지역별 및 자치구별 차이 있음 지원금액 (바우처) 서울 - 출생아 1인당 100만원 경기 - 출생아 1인당 50만원 인천 - 출생아 1인당 150만 (지원 금액은 보건소 또는 행정복지센터 문의 필요) | 지역별 및 자치구별 차이 있음 서울 소득 기준 없음 산모 서울 거주 및 자녀 서울 출생 신고 경기 소득 기준 없음 출생아 경기 주민등록 인천 소득기준 있음 기준중위소득 60% 이내 (취약계층) 인천 주민등록 (1년 이상) 및 25.1.1일 이후 출산 산모 일반 산모는 "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" 이용 지자체 보건소 또는 행정복지센터 문의 | 지역별 상이 신청기간 서울 - 출산 60일 이내 경기 - 출산 1년 이내 인천 25.1.1 ~ 2.2 출산: 25.5.3까지 25.2.3 이후 출산: 임신 32주 ~ 출산 후 90일 이내 사용기간 서울 출산일로부터 1년되는 달의 말일 경기 카드형 출산일 3년 이내 지류형 출산일 5년 이내 인천 포인트 지급일로 부터 1년 이내 지자체 보건소 또는 행정복지센터 문의 | 지역별 상이 서울 (방문신청) 동주민센터 (온라인) 서울맘 케어 경기 (방문신청) 관할 주민센터 (온라인) 경기민원24 인천 (방문신청) 주소지 보건 (온라인) 정부24 (신청인 인청3음 앱 가입 필수) |
부모 급여 | 지원금액 (현금, 비과세) 아동 1명당 만 0세 - 매월 100만원 만 1세: 매월 50만 매월 25일 지급 어린이집 이용 시, 영유아 보육호 신청 필요 만 0세 - 월 보육료 전액 (바우처 54만원) + 부모급여 (현금 46만원) 만 1세 - 월 보육료 전액 (바우처 47만5천원) + 부모급여 (현금 2만5천원) | 만 0세 또는 1세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 | 신청 기간 출생 후 상시 가능하나 출생 60일 이내 신청하는 것을 추천 사용기간 없음 | (방문신청) 행정복지센터 (온라인) 복지로 |
양육 수당 | 가정에서 영유아 직접 양육 지원금액 (현금) 매월 10만원* *장애아동 (10~20만원) 및 농어촌아동 (10~15.6만원) 차등지 | 어린이집, 유치원(특수학교 포함),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 취학 전 24~86개월 미만 아동 소득수준 관계 없음 | 신청 기간 자녀 24개월 이상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 사용 기간 없음 | (방문신청) 행정복지센터 (온라인) 복지로 |
아이돌봄서비스 | 아이돌보미 가정 방문 (만 12세 이하 아동, 정부지원 기준) 지원금액 A형 (18.1.1 이후 출생) B형 (17.12.31 이전 출생) 일반가정 시간제 가형(중위소득 75%이하) A형 시간당 10354원 B형 시간당 9136원 나형(중위소득 120%이하) A형 시간당 7308원 B형 시간당 4872원 다형(중위소득 150%이하) A형 시간당 3654원 B형 시간당 2436원 라형(중위소득 200%이하) A형 시간당 1828원 B형 시간당 1218원 한부모, 장애부모, 장애아동, 청소년부모 시간제 가형(중위소득 75%이하) A형 시간당 10962원 B형 시간당 9744원 나형~라형 일반과 동일 청소년(한)부모, 0~1세 자녀 가~라형(중위소득200% 이하) 시간당 10962원 일반가정 영아종일제 가형(중위소득 75%이하) 시간당 10354원 나형(중위소득 120%이하) 시간당 7308원 다형(중위소득 150%이하) 시간당 3654원 라형(중위소득 200%이하) A형 시간당 1828원 한부모, 장애부모, 장에아동, 청소년부모 종일제 가형(중위소득 75%이하) 시간당 10962원 나~라A형(중위소득 200%이하) 일반과 동일 청소년(한)부모, 0~1세 종일제 가~라형(중위소득 200% 이하) 시간당 10962원 | 우선순위: 맞벌이, 취업 한부모, 장애부모, 다자녀, 다문화, 기타 양육부담 (질병, 재학, 취업준비, 아동학대 피해 위기 등) 가정 아동 연령 - 3개월 ~ 12세 이하 양육 공백 - 맞벌이 가구 소득기준 기준중위소득 200%이하 (월 소득) 3인 기준: 10,050,706원 | 신청 기간 수시 사용 기간 최소 이용 시간 시간제 및 질병감염아동 - 2시간 종일제 3시간 단기서비스 5일 전부터 4시간 전까지 긴급돌봄 이용 시작 2시간 전 (추가 요금 발생) 정부지원 시간 정기 및 단기 - 연 960 시간 종일제 - 월 200 시간 | 사전 준비 정부지원 자격 확인 결제 방법 등록 국민행복카드 또는 가상계좌 입금 아이돌봄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한 신청 |
이 외에도 받을 수 있는 혜택
위에 언급된 내용 외에도 조건에 따라 받을 수 있 혜택들이 있습니다.
다자녀 가구 지원 (자녀 2명 이상) - 주택 특별 공급, 자동차 취득세 감면, 전기/도시가스 요금 할인 등
육아휴직 급여: 육아휴직 시 고용보험에서 지급하는 급여
어린이집/유치원 보육류 지원: 소득 수준에 따라 보육료 차등 지급
영유아 건강검진: 영유아 건강 증진을 위한 무료 검진
출산용품 지원: 일부 지자체에서 출산용품 지원
꼭 기억하세요!
위 정책의 경우 2025년 기준이며, 정책이 지속 개정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. 일부 정책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므로, 거주하시는 지역 관할의 주민센터 또는 보건소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